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유용한 생활 정보

축의금 금액 기준 7만원? 5만원? 3만원?

이쪽 저쪽에서 날아오는 청첩장이 부담스러운 시즌인듯 합니다.

축하하는 마음은 크지만 청첩장 갯수가 많다보면 신경쓰이는 것이 축의금 금액인듯 한데요.

오늘은 축의금 금액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각 상황별에 맞춰 일반적인 축의금 금액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물론 개개인의 환경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상황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1. 결혼식에 안가는 경우와 혼자 참석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서 결혼식에 참석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득이한 사정이 생겨 식에 참석못하게 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가족이나 친구등 가까운 지인인 경우와 친분은 없지만 예의상 축의금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친밀한 경우에는 식에 참석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어느정도 생각해 놓은 액수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친분이 없는 경우라면 결혼식에 참석했을 때 혼주가 지불하는 식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인당 뷔페식비가 2~3만원임을 감안한다면 혼자 참석하는 경우 홀수 숫자를 선호하는 경향에 맞추어 7만원 정도를 내며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는 경우 2만원 정도 낮춘 5만원을 보낸다고 해요.

 



2. 가족이 함께 가는 경우

결혼식장에 온 가족이 함께 가면 축의금 금액이 더욱 모호한듯 합니다.

물론 얼굴에 철판을 깔고 그냥 우리가족 외식한 셈 치자고 생각하고 맛있게 먹고 올 수도 있지만

후에 안좋은 말을 듣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더라구요.

지인의 경우 유학생 신분일 때 결혼식을 했는데 그러다보니 하객들도 유학생들이 많았고 유학생 친구 가족들이 전부와서 식사를 하고 가다 보니 좀 서운하더라는 애기를 들은 기억이 납니다.

 

 

물론 이런 경우가 흔한 것은 아니겠지만요.

그래서 제 생각에는 본인이 결혼 당사자로부터 경조사비를 받을 일이 없는 경우에는 적당하게 가족들과 함께 가서 식사를 하고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면 가족들의 식비 정도를 추가적으로 더 넣는것이 예의일 듯 싶습니다.

4인 가족이 가는 경우 일반적으로 10만원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3. 벌이가 있는 경우

직장인이나 자영업 등 사회인으로써 수입이 있는 경우 적당한 축의금 금액은 얼마일까요? 

친함의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전에는 5만원 정도가 일반적 금액이었는데 물가상승의 탓인지 요즘은 7만원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4. 벌이가 없는 경우

취업을 준비하거나 학생인 경우 등 경제적인 능력이 없을 경우 결혼식 초대를 받는 것 만으로도 부담을 느끼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3만원 정도의 축의금을 한다고 합니다.

 

 

주위의 친구들이나 인터넷에서 알아본 축의금 금액을 토대로 정리해 봤는데요

결혼식에 참석 할때는 5~7만원, 참석 안할때는 5만원정도를 낸다고 하는 의견들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이상으로  축의금 금액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